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기초생활수급자 통신비 감면 팩트체크: 누가, 얼마나, 어떻게 받나?

by 지원금네비 2025. 6. 25.

기초생활수급자를 위한 통신비 감면 제도는 실제 존재하는 지원 정책으로, 매달 통신비를 확실히 줄일 수 있는 소중한 혜택입니다. 하지만 아직도 많은 분들이 이 제도를 모르거나 신청하지 않아 혜택을 놓치는 경우가 많습니다. 오늘은 기초생활수급자 통신비 감면의 핵심 정보를 쉽고 정확하게 정리해 드리겠습니다.

누가 혜택을 받을 수 있나?

기초생활수급자 통신비 감면은 다음 대상자에게 적용됩니다.

  • 생계급여·의료급여 수급자 (기초생활수급자)
  • 주거·교육급여 수급자
  • 차상위계층
  • 장애인, 국가유공자, 기초연금 수급자

특히 생계급여·의료급여 수급자는 가장 높은 혜택을 받을 수 있으며, 주거·교육급여 수급자와 차상위계층도 일정 부분 통신비 감면을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.

얼마나 감면되나?

기초생활수급자(생계·의료급여 수급자)의 경우, 아래와 같은 지원이 가능합니다.

  • 기본료(월정액) 최대 26,000원 면제
  • 음성·데이터 사용요금의 50% 감면
  • 월 최대 감면 한도: 약 41,000원
항목 금액
기본료 26,000원 면제
통화비 사용액의 50%, 월 최대 약 15,000원
총 감면 한도 약 41,000원

주거·교육급여 수급자 및 차상위계층은 다음과 같습니다.

  • 기본료 최대 11,000원 면제
  • 통화·데이터 요금의 35% 감면
  • 월 최대 감면 한도: 약 30,000원

알뜰폰도 통신비 감면 적용될까?

알뜰폰 가입자도 동일하게 통신비 감면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.

대표적으로 KB리브모바일, 헬로모바일 등이 복지 할인 요금제를 운영하고 있으며, 실제로 적용되는 금액은 아래와 같습니다.

  • 기본료 최대 28,600원 면제
  • 통화·데이터 50% 감면 (월 최대 약 36,850원)

이처럼 알뜰폰 사용 시에도 이동통신 3사와 동일한 감면 혜택을 받을 수 있으니, 본인에게 맞는 요금제를 선택하면 더 효율적으로 통신비를 절약할 수 있습니다.

신청 방법은 간단할까?

기초생활수급자 통신비 감면 신청은 매우 간단합니다.

다음 경로를 통해 신청할 수 있습니다.

  • 이동통신사 고객센터 (ARS 1523 또는 114)
  • 통신사 대리점
  • 주민센터
  • 정부24복지로 온라인 신청

ARS 신청 시 본인 생년월일만 입력하면 바로 자격 확인이 가능하며, 대부분 신청 당월부터 바로 감면이 적용됩니다.

신청 시 꼭 확인해야 할 사항!!

기초생활수급자 통신비 감면은 몇 가지 유의사항이 있습니다.

  • 1인당 1회선만 감면 적용 가능
  • 선택약정 할인 등 일부 요금 할인과 중복 불가 (단, 상황에 따라 우선순위 적용 가능)
  • 감면 자격 유지 시 자동 연장, 별도 재신청 불필요

이 부분을 꼼꼼히 확인하고 신청하시면, 불필요한 통신비 지출을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.

구분 대상 감면 내용 월 최대
생계·의료급여 수급자 기초생활수급자 기본료 면제 + 통화·데이터 50% 할인 ~41,000원
주거·교육급여/차상위층 저소득층 기본료 면제 + 통화·데이터 35% 할인 제한 있음
알뜰폰 포함 동일 지원 생계·의료: 기본료 28,600원 + 통화 50% (36,850원 한도) ~36,850원

 

 



기초생활수급자 통신비 감면
은 정말 놓치면 손해인 제도입니다.

가장 쉽고 빠른 신청은 ARS 1523이며, 알뜰폰 사용 중인 분들도 꼭 신청 가능하니 본인 혜택을 꼼꼼히 챙기시길 추천드립니다.
불필요한 통신비를 줄이고, 지원받을 수 있는 복지 혜택은 최대한 활용하는 것이 진짜 똑똑한 절약입니다.